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ont
- Mobile
- Ajax
- onlosecapture
- 웹표준 약도
- break-all
- white-space:pre
- Filter
- meta
- Gallery
- HTML
- keep-all
- CSS
- word-break
- onmouseup
- 키보드방지
- 모바일테스트
- 스크립트
- box-shadow
- 개발자도구함
- 소스보기방지
- mobile view
- css3
- IE8
- view test
- jQuery
- JavaScript
- font-size
- html5
- 웹표준
- Today
- Total
감성 퍼블리셔 html,css
이번 글의 주제 캐싱입니다. 프로그램 소스 html, css, script 등을 변경해서 서버에 반영을 했는데. 특정 사람들에 한하여 반영된 소스가 안보일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같은 파일명의 파일에 내부소스를 변경하거나 추가했을시 적용되지 않을것처럼 헝클어지거나, 어긋나 보이는 현상이기도 하지요. 가서 확인을 해보면 임시 인터넷 폴더에 해당 파일(캐싱)이 존재해서 인데요. 개발자 입장에서 쉽게 해결하는 방법 1. Ctrl + F5를 입력하라고 한다. - 입력할 경우 캐싱된 파일들을 날리고 새로 받습니다. 2. 인터넷 설정에서 임시인터넷 파일 설정을 웹 페이지를 열 때마다로 변경 한다. 이 두 가지는 정말 개발자 입장에서 처리한 것 이라서 사용자가 난 그리 못하겠다고 하면 답이 없습니다. 최초 유효방문자..
출처 : http://taeyo.net/Lecture/NET/scriptCallback04.asp Ajax란? 에이잭스(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기술은 2005년 중반부터 화두로 떠오른 웹 기반의 비 동기 통신 기법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Google Earth가 발표되면서 사실상 급부상한 기술이기도 합니다. 웹 상에서 화면의 새로 고침(refresh)없이 그토록 빠르고, 깊이 있게 세계 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실로 놀라움이었으니까요. 해서, Ajax가 웹 상에서 고 해상도의 그래픽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이 기술이 ActiveX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씀하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아마도 각각의 기술이 사용되..
CSS display none과 block 속성 이해하기 css 속성중 많이쓰는 display none, display block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css 속성은 javascript, jquery 로 toggle 형식을 만들때 많이 쓰고있을텐데요. display에는 4가지 속성이 존재합니다. 1. display - block 2. display - inline 3. display - none 4. display - inline-block 위 속성에 대한 기능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1. block -적용된 태그는 블록요소를 가지며, 가로값이 100%로 줄바꿈이 일어납니다. span태그같이 inline태그에 사용해도 같은 기능을 가집니다. 2. inline -적용된 태그는 인라인요소를 가지..
footer가 항상 최하단에 붙어있기 (HTML/CSS) 출처 : http://blog.naver.com/parkgaya?Redirect=Log&logNo=130120356744 종종 어떤 홈페이지에 footer가 항상 촤하단에 붙어있는 경우를 보게 된다. (예 http://mail.naver.com, http://me.naver.com/index.nhn 등 로그인페이지) 창의 크기에 상관없이 그리고 창의 크기가 변화하여도 항상 최하단에 고정되어서 움직입니다. 콘텐츠 시작 여기까지 COPYRIGHT 원하는 기능은 메뉴/컨텐츠/푸터로 나누고 메뉴 / 푸터를 제외한 부분만큼 스크롤 없이 화면에 꽉 차있고 푸터는 늘 화면 하단에 위치 일단 스타일 시트부분을 기존에 만들어진 페이지들에 쓰이는 클래스 네임을 바꿔..
씨네큐브 반응형웹 사이트 보기 우연히 사이트 메인시안을 참조하기 위해 벤치마킹을 하는 도중에 들어오게 된 사이트입니다. 요즘은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습관처럼 브라우저창 가로를 줄여보네요, 아무래도 반응형웹이 그만큼 대중화가 되어 사용이 되고 있다는 뜻이지요. | 이것은 씨네큐브의 메인페이지 입니다. 기본적으로 GNB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측에는 관련 컨텐츠가 뿌려지는 형태입니다. 조금 브라우저 창을 축소해보았습니다. | 네, 보시는것처럼 GNB가 상단으로 올라갔네요. 메인 제이쿼리는 이와같이 비율유지하며 축소가 되고 하단부분에 좀더 큰 프레임으로 메인제이쿼리가 반복적으로 구현되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것은 대략 모바일 크기에 맞게 줄였을떄 구현되는 페이지 모습입니다. GNB부분을 전체보기를..
반응형 관련 홍익대학교 졸업전시회 사이트 | 브라우저 창크기와 관련하여 유연하게 변형이 되는 반응형 웹사이트에 대해서 적어보았다. |홍익대학교는 매년 이러한 졸작을 웹사이트를 구현하여 전시를 하는것 같다. 웹 카다로그 개념으로, 졸작에 작품과 관련 컨텐츠를 웹으로 구현하였다. 지난 2008년, 2011년, 그리고 내가 지금 포스팅을 하려는 2012년 일자이다. | 처음 메인페이지에 들어가면 일단 시각적인 효과가 눈앞에 펼쳐진다. 우측에 작은 썸네일들이 일정한 효과를 주며 구현이 된다. | 브라우저 창 크기를 가로폭을 좁히게 되면 우측 썸네일들이 비율이 일정하게 축소되며 밀리게 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를 활용하여 크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한 것 같다. | 썸네일을 오버했을시 관련 컨텐츠가..
원하는 색깔을 드래그해서 복사하십시오. #93DAFF #98DFFF #9DE4FF #A2E9FF #A7EEFF #ACF3FF #B0F7FF #B4FBFF #B9FFFF #C0FFFF #87CEFA #91D8FA #A5D8FA #AFDDFA #B9E2FA #C3E7FA #CDECFA #D7F1FA #E1F6FA #EBFBFF #00BFFF #0AC9FF #14D3FF #1EDDFF #28E7FF #32F1FF #3CFBFF #46FFFF #96FFFF #C8FFFF #00A5FF #00AFFF #00B9FF #00C3FF #00CDFF #00D7FF #00E1FF #00EBFF #00F5FF #00FFFF #1EA4FF #28AEFF #32B8FF #3CC2FF #46CCFF #50D6FF #5AE0FF ..